'현장의 문제는 현장에서 푼다' 사내전문가 양성을 통한 현업 주도 자율 안전관리
- fidelitysolution

- 6월 20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7월 26일

안전관리의 글로벌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안전을 '특정 부서만의 책임'이 아닌, '전사적 참여가 필요한 핵심 가치'로 재정의했습니다. 현업 부서 담당자들이 주도적으로 안전관리에 참여하는 체계가 정착되어, 형식적인 규제 준수를 넘어 진정한 안전문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대기업들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현업 중심의 자율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각 부서의 특성을 가장 잘 이해하는 '사내전문가'를 양성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현업 주도의 자율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내전문가 양성은 단순한 인력 배치가 아닌, 현업에 최적화된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의 시작점이자 부서원들의 안전의식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사내전문가를 효과적으로 양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5가지 노하우를 아래 정리했습니다. 함께 살펴보며 우리 사업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현업 주도의 자율안전관리 방안을 확인해볼까요?
성공적인 사내전문가 양성 노하우 5가지
전략적인 사내전문가 선발 사내전문가 선발은 회사의 안전문화를 이끄는 리더를 발굴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현업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문성을 갖추고, 부서원들을 교육하고 이끄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유하며, 안전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열정을 지니고, 변화와 개선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인재를 선발해야 합니다. 교대조 기피 등의 이유로 무작위 선발하는 것은 절대 금물입니다. 형식적인 선발은 안전문화 형성에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 Tip: 사내전문가는 부서별로 정/부 2명을 선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역할 분담을 통해 업무 부담을 줄이고, 서로 협업하며 자발적인 동기부여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명확한 역할과 책임(R&R) 수립 사내전문가 활동은 본연의 업무에 추가되는 중요한 책임입니다. 따라서 명확한 역할 정의와 적절한 업무 비중 설정이 필수입니다. 사내전문가 활동에 최소 업무시간의 10% 이상을 배정하고,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활동 목표를 설정하며, 부서장과 정기적으로 목표를 검토하고 조정해야 합니다. 주요 역할로는 부서 구성원 대상 정기 안전교육 실시, 일일 TBM(Tool Box Meeting) 관리 및 진행, 부서 안전회의 준비, 현장 안전점검 및 개선활동 수행, 안전 관련 제안사항 수집 및 전달 등이 있습니다. 추가로, 사내전문가는 부서 내 안전 관련 데이터를 정리하고 보고하는 역할도 수행하여, 데이터 기반의 개선안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 Tip: 사내전문가의 R&R 수립 시, 부서장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성공의 열쇠입니다. 부서장이 사내전문가의 역할을 이해하고 지원하지 않으면 동기와 활동의 지속성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사내전문가 활동은 본연의 업무와 병행되므로, 부서장의 지속적인 지지와 피드백이 자율안전관리의 활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체계적인 사내전문가 사전 교육 사내전문가가 효과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려면 전문적인 사전 교육이 필요합니다. 이는 단순한 안전지식 전달을 넘어 실질적인 활동 방법론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교육 내용은 사내전문가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명확한 이해, 효과적인 안전교육 방법론, 현장 안전점검 및 위험성 평가 방법, 안전 관련 의사소통 및 설득 기술, 부서별 안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등을 포함해야 합니다. 추가로, 글로벌 안전관리 사례(예: ISO 45001 기반 접근)와 디지털 도구(EHS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을 통해 최신 트렌드에 맞춘 역량을 강화해야 합니다.
※ Tip: 사내전문가 교육에 현장 OJT(On-the-Job Training)를 도입하면 실질적인 역량 강화에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현장 OJT는 사내전문가가 실제 안전점검과 의사소통 과정을 동료 또는 외부 전문가와 함께 수행하며, 실무 중심의 방법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입니다.
활동 모니터링 및 피드백 체계 구축 사내전문가의 지속적인 성장과 개선을 위해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 체계가 필수입니다. 수립된 R&R에 따라 월간 활동 결과를 취합하고 분석하며, 부서장에게 정기적으로 결과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아야 합니다. 우수 사례를 발굴해 전사적으로 공유하고, 개선이 필요한 영역에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여 활동의 효과성을 높여야 합니다. 추가로, 사내전문가 간 정기 교류회를 통해 부서 간 모범 사례를 공유하고, 안전관리의 상향 평준화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 Tip: 사내전문가의 모니터링과 우수 사례 발굴은 안전부서가 주관하여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안전부서는 현업 부서별 사내전문가의 활동을 지원하고 관리하며, 우수 사례를 공유해 모든 사내전문가의 역량을 상향 평준화하도록 돕는 핵심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HR 부서와의 전략적 협업 사내전문가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HR 부서와의 긴밀한 협업이 필요합니다. 사내전문가 활동을 인사평가에 반영하고, 우수 사내전문가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를 마련하며,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활동시간 보장을 위해 업무 조정을 지원해야 합니다. 추가로, HR 부서는 사내전문가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전사 캠페인(예: 안전 우수 사례 공모전)을 기획해 안전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안전부서 단독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제도를 전사적으로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 Tip: 안전관리는 사업장뿐만 아니라 전사 차원에서 추진해야 실효성과 안전문화가 강화됩니다. HR 부서와의 협업을 통해 사내전문가 제도를 전사적으로 확산시키고, 이를 위해 최고경영진과 리더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리더의 헌신은 안전문화를 뿌리내리게 하는 강력한 동력이 됩니다.
현장의 문제는 현장에서 해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사내전문가는 바로 이러한 접근의 핵심입니다. 앞서 살펴 본 5가지 노하우를 참고하여, 우리 조직의 상황에 맞게 조정하면서 현업 주도의 자율안전관리를 착실히 추진하시기를 제안 드립니다.
글 이호준 |Team Leader
본 뉴스레터의 모든 내용은 대한민국의 저작권법 및 관련 법령에 의해 보호 받고 있습니다. 수신인 개인이 정보 취득 목적으로만 이용 가능하며, 무단 복제, 상업적 목적의 재사용, 2차 저작물 생성은 엄격히 금지됩니다.
Copyright 2025. FIDELITY SOLUTION inc. All rights reserved.

![[BBS 특집] 전 조직이 동참하는 BBS: 계층별 핵심 역할과 실행 전략](https://static.wixstatic.com/media/11062b_687f64132c4c477ba45d59fa9d393ad1~mv2.jpeg/v1/fill/w_980,h_551,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11062b_687f64132c4c477ba45d59fa9d393ad1~mv2.jpe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