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S 특집] 전 조직이 동참하는 BBS: 계층별 핵심 역할과 실행 전략
- fidelitysolution

- 9월 2일
- 3분 분량

BBS(Behavior Based Safety)의 성공은 전 구성원의 참여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단순히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BBS의 원활한 운영이 어렵다. 각 계층이 자신의 고유한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이해하고, PDCA(Plan-Do-Check-Act) 사이클에서 맡은 바 영역에 집중할 때 비로소 진정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왜 계층별 역할 구분이 중요할까? 임원이 전략적 관점에서 점검과 개선에 집중하고, 팀장이 계획과 실행을 주도하며, 구성원들이 실제 활동과 개선 이행에 적극 참여할 때, BBS 프로그램은 단순한 형식적 활동이 아닌 실질적인 안전문화 개선 도구로 자리 잡는다. 각 계층의 책임 있는 참여와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만 BBS 프로그램이 조직 전체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번 뉴스레터를 통해 BBS 프로그램에 대한 계층별 주요 R&R을 알아보자.
계층별 역할과 책임
임원 : Check & Act 중심 역할 임원은 PDCA 사이클에서 Check(점검)와 Act(개선)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BBS 활동의 결과를 면밀히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차원의 개선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핵심이다. BBS가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는 사업장에서는 이미 월별 안전회의 시간을 활용하여 BBS 활동 결과를 공유하고 개선사항을 논의하는 과정을 운영 중에 있다.
[주요 활동]
1. 성과 점검: BBS 활동 결과 데이터 분석 및 안전 지표 모니터링
2. 개선 지원: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 마련 및 자원 투입
3. 조직적 Act 실행: 정책 변경, 시설 개선, 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 전사적 개선 조치
4. 동기부여 제공: 우수 사례 포상, 성과 공유를 통한 전 직원 동기부여
*TIP
Act가 제대로 이뤄져야 전 직원도 함께 동기부여가 된다. "우리의 BBS 활동이 실제로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구나"라는 것을 직원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가시적인 개선 조치를 신속하게 실행하라. 이것이야말로 BBS 활동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조직 구성원들이 느낄 수 있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팀장(관리자) : Plan & Do 중심 역할 팀장층은 PDCA 사이클에서 Plan(계획)과 Do(실행)에 중점을 두어 소속 구성원들이 BBS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실제 부서별 BBS 활동 결과를 살펴보면, 팀장 스스로 적극적인 BBS 활동을 실시하는 부서의 양적, 질적 측면의 성과는 다른 부서의 성과에 비해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국내 A석유화학사 사례. a와 b부서의 BBS 활동 각 부서 참여율 10% 이상 Gap 발생) [주요 활동]
1. 활동 계획 수립: 팀별 BBS 활동 계획 작성 및 일정 관리
2. 구성원 지원: 관찰 활동 지원, 교육 제공, 어려움 해결
3. 솔선수범: 팀장 스스로 적극적인 BBS 활동 참여로 모범 시연
4. 초기 세팅 참여: 핵심안전행동 수립 시 현장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 의견 제시
*TIP
구성원들의 참여 동기를 높이려면 본인이 먼저 솔선수범해야 한다. "팀장님도 함께 하시네"라는 인식이 생겨야 구성원들도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특히 핵심안전행동을 수립할 때는 현장의 실질적 위험요소를 가장 잘 아는 중간관리자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실효성 있는 기준을 만드는 데 기여해야 한다.
구성원 : Do & Act 중심 역할 구성원층은 PDCA 사이클에서 Do(실행)와 Act(개선이행)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BBS의 핵심인 관찰과 피드백 활동을 충실히 수행하고, 도출된 개선사항을 실제 현장에서 이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주요 활동]
1. 적극적 활동 참여: 정기적인 관찰 활동 및 피드백 제공
2. 정확한 데이터 입력: 관찰 결과의 객관적이고 상세한 기록
3. 상호 피드백: 동료 간 건설적인 안전 피드백 교환
4. 개선사항 이행: 회의를 통해 도출된 개선대책의 현장 적용
*TIP
사실 Do 파트가 가장 중요하다. 관찰하는 것, 피드백을 서로 제공하는 것, 그 결과를 정확히 기록하는 것 - 이 모든 것이 BBS의 생명력이기 때문이다. 여러분이 현장에서 수집한 데이터가 회의를 통해 개선대책으로 이어지고, 그 개선대책을 다시 현장에서 잘 이행해주어야 한다. 그래야 TOP에서 제공하는 Act와 새롭게 시작되는 Plan이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궁극적인 목표인 사고 예방 및 안전 관리에 도달할 수 있다.
현재 BB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면 어떤 부분을 개선해야 할지 위 계층별 R&R을 기반으로 고민해보자. 각자의 위치에서 PDCA 사이클 중 집중해야 할 영역에 더욱 충실히 임한다면, 선진국에서 이미 검증 받은 이 훌륭한 프로그램을 국내에서도 성공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BBS는 단순한 관찰 활동이 아니다. 조직 전체가 하나의 유기체처럼 움직일 때 진정한 안전문화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 각 계층의 역할이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갈 때, 우리는 세계적 수준의 안전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 뉴스레터에서는 BBS의 마지막 주제인 '활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이론과 역할 분담을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BBS를 더욱 활발하게 만드는 구체적인 성공 사례와 실질적인 전략들을 공유할 예정이다.
글 이호준 |Team Leader
본 뉴스레터의 모든 내용은 대한민국의 저작권법 및 관련 법령에 의해 보호 받고 있습니다. 수신인 개인이 정보 취득 목적으로만 이용 가능하며, 무단 복제, 상업적 목적의 재사용, 2차 저작물 생성은 엄격히 금지됩니다.
Copyright 2025. FIDELITY SOLUTION inc. All rights reserved.
![[BBS 특집] 우리가 행동기반안전관리(BBS)를 실패하는 5가지 이유](https://static.wixstatic.com/media/11062b_5343420b97474348bb73b2e60c4b376c~mv2.jpg/v1/fill/w_980,h_738,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11062b_5343420b97474348bb73b2e60c4b376c~mv2.jp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