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작] ②"안전 교육, 더 이상 감으로 하지 마세요."-안전 역량에 기반한 교육 체계 수립
- fidelitysolution

- 6월 20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9월 2일

최근 들어 '역량 평가', '역량 개발'이라는 용어가 조직 생활에서 상당히 익숙해졌지만, 용어에 대한 해석은 개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가령 역량 평가는 인사평가제도 자체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로는 현업에 적용하기 위한 지식(Knowledge), 기술(Skill), 능력(Ability), 기타 특성(Other Characteristics)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역량 개발은 이러한 특성들을 지표화하여 잠재력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많은 기업과 기관에서는 인재 육성과 선발 및 평가, 교육 등 다양한 목적으로 역량이라는 개념 활용하고 있다. 일부 조직에서는 직급별 역량 가이드북을 개발하여 각 직급별로 요구되는 역량을 정의하고 이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Self 체크리스트를 수록하여 구성원 스스로가 역량 별 요구되는 행동 수준을 파악하고 관리하도록 하거나, 조직 차원에서 테스트나 모니터링 등의 방식으로 역량을 진단하고 이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안전은 어떠한가? 대부분 법정 교육이나 특정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단발적 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안전 역량에 대한 평가와 개발은 미흡한 수준이다. 이번 2부에서는 1부에서 제시한 안전 역량 및 구성요소에 대한 내용에 기반하여 이를 평가하고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앞서 1부에서는 안전 역량은 크게 직무 역량과 리더십 역량으로 구분되며, 이에 요구되는 KSAO(지식(Knowledge), 기술(Skill), 능력(Ability), 기타 특성(Other characteristics))이 존재하고, 구성원의 생애주기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은 변화한다고 설명하였다. 즉, 입사 시점부터 일정 기간동안 직무 역량을 중점으로 지식과 기술을 높이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관리자로 올라갈수록 지식과 기술보다는 리더십 역량과 책임감, 배려 등 관리자로서 요구되는 역량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안전 역량 평가 및 개발방안 수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안전 역량 평가와 개발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역량 평가
역량 평가를 위해서는 직무별 안전 업무를 기술하고, 계층/연차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 수준을 정의해야 한다. 실례로 IChemE*에서는 공정 운전에 요구되는 역량을 6가지 요소 18개 역량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각 직무/계층에 따른 요구 역량 수준을 4단계(인식-기본 적용-높은 숙련도-전문가 수준, 해당없음 별도)로 분류하고 있다(ISC Process Safety Competency Guidance, 2018).
직무 및 계층/연차에 따른 역량 수준이 정의되면, 이를 평가하기 위한 Tool을 개발하여 개인/집단으로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역량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적합한 평가 Tool은 달라질 수 있는데, 전반적인 안전리더십 수준은 Self/타인 모니터링 설문이 적합할 수 있으며, 전문 지식과 관련해서는 시험, 면담평가 등의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다.
*IChemE(Institution of Chemical Engineers): Chemical, Biochemical, Process engineer 분야의 공인 자격 인증 및 관련 연구, 교육 등을 시행하는 국제 자격 인증/학술기관
역량 개발
역량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면, 부족한 역량에 대한 개선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해야 한다. 그러나 구성원 개개인이 스스로 부족한 역량에 대해서 개선을 실행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조직에서는 역량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구성원은 직무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OJT(On the Job Training), 연차별 교육을 설계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관리자는 직무 역량 외 안전리더십 관련 코칭 및 피드백을 운영하는 효과적일 수 있다.
지금까지 2부에 걸쳐 효과적인 안전 교육 체계 수립을 위해 필요한 역량 모델링, 역량 평가 및 개발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핵심 사항은 각 직무/계층별 요구되는 안전 역량이 정의되고, 이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이 설계되고 운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혹시 안전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면, 양질의 교육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회사 임직원에게 필요한 안전 역량을 정의해보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어떨까?
글 김형우 |Team Leader
본 뉴스레터의 모든 내용은 대한민국의 저작권법 및 관련 법령에 의해 보호 받고 있습니다. 수신인 개인이 정보 취득 목적으로만 이용 가능하며, 무단 복제, 상업적 목적의 재사용, 2차 저작물 생성은 엄격히 금지됩니다.
Copyright 2025. FIDELITY SOLUTION inc. All rights reserved.
![[2부작] ① "안전 교육, 더 이상 감으로 하지 마세요."-안전 역량에 기반한 교육 체계 수립](https://static.wixstatic.com/media/bfe4bc832039432dba15f4fdec5002eb.jpg/v1/fill/w_980,h_653,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bfe4bc832039432dba15f4fdec5002eb.jpg)
댓글